연말정산 (5) 썸네일형 리스트형 연말정산 주택 전세보증금 월세 세액공제 및 소득공제 (상세) 주택을 월세로 임차하여 거주하는 경우 매월 지출한 월세에 대하여 세액공제 또는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주택을 임차하기 위해 전세, 월세 보증금을 대출받는 경우 원리금 상환액에 대하여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공제를 위한 조건과 한도, 필요서류 등을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월세세액공제 주택(주거용 오피스텔, 고시원 포함)을 월세로 임차하고 임차주택으로 전입신고를 하여 거주하는 경우 아래의 요건을 모두 충족할 때에는 연간 지출한 월세액의 15% 또는 17%를 연 750만원 한도 내에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총급여액 7천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6천만원 이하 : 15% - 총급여액 5천5백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4천5백만원 이하 : 17% - 과세기간 종료일 현재 무주택 세.. 연말정산 내역 빠트렸다면, 다시 신청하세요. (연말정산 경정청구) 연말정산 내역 중 깜빡해서, 혹은 몰라서 못 챙긴 내역이 있을 수 있는데 그럴 때는 경정청구 기간을 노리면 된다. 연말정산 경정청구 경정청구란 납세 의무자가 부당하게 세금을 더 냈거나 잘못 낸 경우 돌려달라고 요청하는 것으로 연말정산 신고기간에 증빙서류를 제출하지 못했거나, 혹은 세금이 제대로 환급되지 못했다고 느껴질 때 사용하는 제도 - 신청가능기간 : 연말정산 신고기간 후 보정기간 3개월이 지난 후부터 - 청구가능기간 : 납세신고를 한 날부터 5년 이내 - 세금환급기간 : 경정청구를 받은 날로부터 2개월 이내 신청 자격 증빙서류나 세액공제 내역을 빠트린 사람 - 중도 퇴사한 사람 : 보통 직장에서 연말정산을 함께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직장에 서류를 제출하면 알아서 연말정산 신청을 해준다. 하지만 중.. 연말정산 월세, 전세보증금 세액공제 받는법 연말정산만 잘하면 매달 나가는 월세 한 달 치는 돌려받을 수 있어요. 월세 세액공제는 1년 동안 낸 월세 일부에 해당하는 세금을 감면해 줘서 돌려주는 건데 연말정산 기간에 직접 서류를 제출해야 하기 때문에 놓치고 지나갈 수 있어요. 세액공제받는 조건과 증빙서류를 잘 준비해야 하는데 월세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 필요한 준비사항을 알려드릴게요. 월세 세액공제를 받기 위한 조건 - 총급여 7천만원 이하(종합소득액 6천만원 이하) - 전입신고 필수 - 무주택 세대주 - 전용면적 85㎡(25.7평)이하 혹은 기준시가 3억원 이하인 주택에 거주해야 함 월세 공제 비율 (한도 750만원 내에서) - 총급여 5500만원 이하 : 1년 월세의 12% - 총급여 5500만원 초과 : 1년 월세의 10% 전세보증금에 대해서도.. 2023 연말정산 달라진 점 1월 15일부터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가 시작됐습니다. 연말정산 신청을 하기 전에 지난 연말정산때와 비교해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 늘어난 공제내용과 한도 □ 생활비 전년대비 5%를 초과한 신용카드 사용액에 대해 20% 추가공제 대중교통이용금액은 2022년 7월부터 12월까지 사용한 금액에 한해 공제비율이 40%서 80%로 오름 전통시장 사용금액과 작년에 비해 증가한 신용카드 비용에 대해 100만원 한도로 추가 공제를 받을 수 있음 □ 전,월세 총급여 5500만원이하 급여소득자는 월세 세액공제 15~17% 총금여 5500만원 초과 7000만원 이하 급여소득자는 월세 세액공제 10% 무주택 근로자의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전세를 받기 위해 받은 대출금 중 지금까지 갚은 원금과 이자.. 연말정산 기간 및 절차 13월의 월급이라고 불리는 연말정산, 이번에 여러분들은 월급을 받게 되시나요? 아니면 세금으로 더 내셔야 하나요? 전 프리랜서라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고 있지만 일반 직장을 다니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신청해야 하는게 연말정산입니다. 그렇다면 연말정산이 어떤 절차를 거쳐 진행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연말정산 시기 별 프로세스 1. 연말정산 안내 (국세청, 회사→근로자) : 1월 초 - 연말정산 일정 및 정보 제공, 국세청 홈페이지 연말정산 안내 등 2. 소득, 세액 증명서류 수집 (근로자) : 1.11~1.31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용 (1.15~1.31) - 간소화 서비스에서 제공하지 않는 영수증 수집 (안경, 교복 구입비, 미취학아동 학원비, 기부금 등) 3. 소득자별 근로소득원천징수부 (회사)..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