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

(3)
인덱스, 액티브, 레버리지, 인버스 ETF 개념 정리 우리나라 국민 17명 중 1명이 투자하는 상품은 바로 상장지수펀드(ETF)인데, 올해 들어 국내 ETF 시장의 순자산 총액이 100조원을 돌파했다고 합니다. ETF가 국내에 들어온 후 21년만에 이룬 성과인데, ETF가 무엇이길래 이렇게 빨리 성장할 수 있었는지, 그 이유와 개념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ETF의 개념 이해하기 ETF(Exchange Traded Fund)는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펀드를 의미합니다. - 펀드 : 여러 기업에 분산 투자해 리스크를 낮추는 상품 - 주식 : 쉽게 사고팔 수 있다는 점이 특징 펀드와 주식을 합친 것이 ETF (주식보다 안전하면서도 주식만큼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는 상품) ETF의 장점 1) 일반 펀드보다 수수료가 저렴함 - 펀드는 펀드 매니저가 운용을 전..
주식 떨어지면 주목받는 종목 인버스 ETF, 곱버스 ETF 쉬운 개념 정리 왜 내가 산 주식은 사는 순간부터 가격이 떨어질까요? 누가 보고 있는 것처럼 주식은 늘 내 맘 같지 않네요. 지금 추락하고 있는 제 주식 좀 잡아주실 분 계신가요? 그래서 요즘처럼 주식시장이 좋지 않을 때 투자하기 좋은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는데 바로 인버스 ETF와 곱버스 ETF입니다. 개념과 유의할 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ETF란 무엇인가? ETF(상장지수펀드)는 주가지수등을 따르는 펀드 종목 하나에 투자를 하는 주식과 달리 주가지수를 따르는 펀드를 주식시장에 상장시켜 투자하도록 합니다. ※주가지수 : 증권시장에서 형성되는 주가변동상황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 예를 들면 코스피 지수를 따르는 ETF라면 코스피 지수가 1% 오를 때 해당 ETF도 1% 오르고, 반대로 1% 내릴 때 해당 ETF..
배당락의 뜻, 2023년 배당락일 계산하기 ◈ 배당락이란? - 배당기준일이 지나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어지는 것 ◈ 배당락일이란? - 주식을 사도 배당금을 받을 수 없는 최종적인 날 배당이란 주식회사가 이익금의 일부를 현금이나 주식으로 할당하여 자금을 낸 사람이나 주주에게 나누어 주는 일을 의미하며, 많은 회사들이 회사의 이익을 주주에게 환원하는 방식으로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많은 회사들이 배당을 하고 있지만 국내는 그 수가 많지 않은 게 사실입니다. 주식회사는 사업연도가 끝나면 결산을 하고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나눠주는데 그 배당받을 권리는 사업연도가 끝나는 날을 기준으로 주식을 가진 주주들에게 한정됩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의 회계연도는 1월 1일에서 12월 31일로 운영하며 결산을 하는데 12월 31일까지로 결산을 해서 3개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