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주식과 코인,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현금을 투자할 길이 막혀 투자 유보된 자금이 많다고 하죠. 그래서 은행 수시 입출금 통장 대신 하루만 맡겨도 이자를 받을 수 있는 파킹통장을 찾는 사람이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파킹통장은 무엇일까요?
parking(주차)와 통장의 합성어로 차를 잠시 주차하듯 언제든지 돈을 넣었다 뺄 수 있는 통장입니다.
주로 인터넷전문은행과 제2금융권에 속하는 저축은행이 파킹통장을 내놓곤 하는데 2023년 2월 기준 인터넷전문은행 파킹통장 금리는 2%대,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는 3%대입니다.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 비교
파킹통장을 왜 이용할까요?
금리가 오르면서 경기 변동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상황이 언제 어떻게 변할지 모르니 투자자들은 예금이나 주식, 채권 등에 돈을 묶어두기보다 언제라도 돈을 쓸 수 있게 가만히 두고 관망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수시로 입출금 할 수 있되, 하루라도 맡겨두면 이자가 붙는 파킹통장이 뜨고 있습니다.
파킹통장의 경우 최고금리가 적용되는 예치금 한도가 정해져 있어서 큰 금액을 예치해 두기는 어렵습니다. 또한 최대 5000만 원까지 예금자보호가 되기 때문에 그보다 큰 금액을 파킹통장에 두고 싶다면 여러 금융사에 쪼개서 두는 것도 방법입니다.
일반 은행 상품인 파킹통장 외에 증권사에도 비슷한 상품이 있습니다.
CMA와 MMF입니다.
증권사도 저축은행과 같이 제2금융권에 속하는데 CMA와 MMF 역시 하루만 돈을 넣어놔도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CMA (Cash Management Account) '자산관리계좌'
증권사가 국공채, 안전한 회사채 등에 투자한 다음 수익이 나면 CMA에 돈을 넣어둔 투자자한테 돌려줍니다.
MMF (Money Market Fund)
증권사가 주로 금리가 높은 단기금융상품에 집중투자한 뒤 투자 수익을 투자자한테 빠르게 돌려주는 상품으로 CMA와 비교하면 수익률이 높지만 원금을 잃을 수 있다는 위험을 지나고 있기도 합니다.
파킹통장과 다른 점
보통 CMA와 MMF는 파킹통장보다 금리가 높은 편입니다.
다만 금리는 계속해서 변하고 있으니 가입하기 전 꼼꼼하게 비교하는 게 좋습니다.
* 또한 CMA상품은 원금손실 위험이 낮은 편이지만 파킹통장과 달리 일부상품을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예금자 보호를 받지 못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노마드로 돈 버는 법, 수익성 블로그로 천만원 벌기 (0) | 2023.02.26 |
---|---|
유튜브 수익창출 조건 완벽 정리 (1) | 2023.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