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주택연금 똑똑하게 활용하기

반응형

주택연금 또한 다른 연금과 같이 국가에서 제공하는 제도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부할수록 더 잘 활용할 수 있다. 주택연금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몇 가지 팁을 알아보자.


주택연금 똑똑하게 활용하기


1) 집이 잘 팔리지 않을 것 같다면 주택연금을 가입하라.

- 소유하고 있는 집이 외곽에 있으면 나중에 돼서 팔리지 않거나 지금보다 더 낮은 가격으로 팔아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주택연금에 가입하는 게 좋다.

주택연금을 받지 않아도 이미 노후 대비가 되어 있더라도 주택연금을 통해 집을 현금화하는 방편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자녀에게 상속하더라도 집의 경우 처지가 어려울 수 있으니 주택연금으로 받은 돈을 상속하는 방편이 좋다.




2) 대출을 갚고 주택연금을 드는 게 좋다.

- 집을 살 때 대출을 끼고 샀다면, 주택연금에 가입하기 전에 모두 갚는 게 좋다.

대출을 안 갚고 연금을 가입하면, 그 대출을 국가가 갚아주는 구조가 된다. 대신 갚아준 돈과 이에 해당하는 이자를 내가 받을 연금에서 제한다. 이자까지 연금에서 공제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은 금액이 깎인 채 연금을 받게 된다.


예) 70세 김oo씨는 3천만 대출을 낀 3억짜리 주택으로 주택연금을 받으려고 한다면, 3억원의 3천만원, 즉 집값의 10%가 대출받은 돈이다.

이럴 때 일반적으로 연금도 같은 비율로 10%정도 제해서 나올 거라고 생각하지만 10%뿐만 아니라 이자까지 포함해서 18% 정도의 금액이 공제되고 연금이 나온다.

평생 18%가 공제된 채로 연금이 나온다고 생각하면 대출을 다 갚고 연금에 가입하는 게 훨씬 이득이라도 볼 수 있다.




3) 우대형 주택연금 대상자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우대형 주택연금에 가입하면 일반적인 주택연금 가입자보다 연금을 최대 21% 더 받을 수 있다.

주택연금 가입자 중에서 아래의 조건에 해당하면 우대형 주택연금에 가입할 수 있다.

- 65세 이상의 기초연금 수급자(65세 이상 전체 어르신 중 소득인정액 하위 70%, 10명 중 하위 7명이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어요.)

- 공시지가 2억원 미만(22.8.31.전 가입자는 1억 5천만원 미만)주택 소유 및 거주자




4) 집값이 높을 때 주택연금에 가입하는 게 꼭 좋은 것만은 아니다.

- 연금을 가입할 때 주택 가격을 기준으로 매달 받는 연금액수가 결정된다.

높으면 높을수록 연금액수도 높아진다. 그렇기 때문에 매달 받는 연금 자체만 생각하면 집값이 높을 때 연금에 가입하는 게 좋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주택연금은 대출이다. 연금을 많이 받는다는 것은 그만큼 대출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집값이 낮을 때 연금에 가입했는데 이후에 집값이 많이 올랐다면, 대출금을 빼고 남는 금액이 많아진 것을 의미한다.

예) 집값이 3억일 때 연금을 들어 받고 있는데 10년 만에 집값이 5억이 되었다면, 대출금을 빼더라도 2억 정도 여유금이 생겼다고 볼 수 있다.

어차피 자녀에게 상속해 줄 것이라면 자녀가 갚아야 하는 대출금이 집값 대비 적어지게 된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주택연금이란 무엇인가? (주택연금 실수령액, 신청방법)

◈ 주택연금이란?만 55세 이상인 사람이 자기 소유의 주택을 주택금융공사에 담보로 맡기고 대출금을 매달 연금처럼 노후 생활 자금으로 지급받는 상품 연금을 얼마나 받을지는 주택가격과 기

daisylove.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