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명 10년 전과 같은 식단으로 먹는데 10년 전보다 살이 찌지 않으셨나요? 예전과 먹는 양도, 활동량도 별로 다르지 않은 것 같은데 왜 자꾸 살이 불어나는 걸까요? 이렇게 나이가 들수록 몸 이곳저곳에 살이 붙는 경험 다들 하고 계실 거라 추측해 봅니다.
미국 건강, 의료 매체 '웹 엠디' 자료를 토대로 나이가 들수록 체중을 유지가 힘든 이유와 대처법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나이와 체중은 무슨 관계가 있을까요?
- 나이 들면서 살찌는 원인
노화는 그 자체만으로 이미 몸을 변화시키고 이로 인해 살이 찌기 쉬운 상태를 유도합니다. 신진대사는 느려지고 근육 밀도는 떨어지기 때문이죠.
그래서 젊었을 때 적정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먹었던 양이 이제 살이 붙게 만들게 됩니다.
여기에 나쁜 식생활이 더해지면 체중 증가는 더 심해지는데 이 때문에 나이가 들면 영양소가 풍부한 식단으로 적당량을 먹는 등 건강한 식사를 지속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신진대사 저하
20대만 돼도 이미 신진대사는 떨어지기 시작하는데 신신대사가 떨어진다는 건 이전만큼 칼로리를 소모하기 힘들다는 의미입니다.
20대가 되면 청소년기 때보다 하루 평균 150kcal를 덜 소모하게 됩니다. 체내 지방과 근육 구성 비율이 달라지기 때문인데 특히 활동량이 적은 사람에게서 이 같은 현상이 두드러집니다.
앉아있는 생활이 긴 사람은 지방이 늘고 근육이 주는 현상이 본격적으로 일어나면서 살이 점점 찌게 됩니다.
20대가 대체로 날씬한 이유는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고 활발하게 활동하기 때문이지, 10대 때보다 살을 빼기 쉬운 몸 상태가 되기 때문은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근력이 중요
건강을 위해선 과체중과 비만을 피하고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게 좋지만 마른 게 좋은 것이란 의미로 오해해선 안됩니다.
특히 나이가 든 이후 마른 몸은 허약하고 노쇠한 상태를 유도하기 때문에 적정 체중 유지가 더욱 중요해집니다.
젊었을 땐 비만이어도 비교적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반면, 나이가 들면 지방 대비 근육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더욱 중요해집니다.
즉, 마른 것도 피해야 하지만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하는 관리도 필요합니다.
뼈가 약해지는 만큼 적정 근육량을 유지해야 몸을 지탱하고 균형 잡는데 유리해진다는 측면에서도 근육은 중요합니다.
50대에게 필요한 하루 칼로리와 운동량
50대의 칼로리 소모량은 활동량과 직접적인 연관관계가 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하루종일 앉아있는 생활을 한다면 체중은 늘어날 수밖에 없고 격렬한 운동을 좋아한다면 살이 빠질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각 개인의 활동 강도에 따라 칼로리 섭취량은 달라지지만 적정 강도의 활동량을 유지하는 50대를 기준으로 본다면 여성은 1800kcal, 남성은 2200kcal가 하루 필요한 섭취 열량입니다.
적정 강도의 활동이란 무엇일까요?
이는 5~6km/h의 속도로 2.5~5km 정도를 매일 걷는 정도의 활동을 의미합니다.
여성은 폐경(완경)이 원인
여성은 평균적으로 51세에 이르면 월경이 끝나고 폐경(완경)에 이르는데, 사실 이 연령대에 이르면 성별에 상관없이 누구나 체중이 늘어납니다.
개인차는 있지만 폐경(완경)에 이르렀다는 사실보다는 느려진 신진대사, 줄어든 근육량이 보다 직접적인 체중 증가의 원인입니다.
규칙적인 운동과 적정 열량의 섭취가 우선인 이유입니다.
'오늘의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봉 1억 10년만에 현대차 생산직 공채 모집 채용 정보 (0) | 2023.03.01 |
---|---|
드디어 소주값 6천원 시대 (0) | 2023.02.27 |
이승기, 이다인 결혼식 = 사회는 유재석 (호텔 정보) (0) | 2023.02.23 |
유퀴즈 방송사고_장미란 편 결국 방송중단 (0) | 2023.02.22 |
제주도 사진찍기 좋은 봄꽃 명소 (동백꽃, 유채꽃, 매화 포토 스팟) (0) | 2023.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