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3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작년 같은 달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5.2% 올랐다고 합니다. 제 월급과 주식계좌는 동결인데 공공요금들은 오르고 있어 참 씁쓸하네요. 1월 가스요금 고지서의 충격이 아직 가시지 않았는데 2월부터 다른 공공요금들이 오른다고 합니다. 2023년 인상되는 공공요금들을 정리해 봤습니다.
1. 서울 택시요금 인상
◇ 일반택시
기본요금 주간 3800원 → 4800원 (19.3% 인상), 야간 6700원부터 시작
기본거리 2㎞ → 1.6㎞
거리당 요금 100원당 132m → 131m
시간당 요금 100원당 31초 → 30초
심야요금적용 (밤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4시까지)
피크타임 할증률 40% (적용시간 밤 11시부터 다음날 오전 2시까지)
그 외 시간 할증률 20%
2022년 12월 1일부터 적용 중
경기, 인천도 3월부터 1000원 인상 가능성 높음
◇ 모범, 대형 택시
주간 (오전 4시 ~ 밤 10시)
기본요금 거리 3㎞당 6500원 → 7000원
거리당 요금 151m당 시간당 요금 36초당 200원은 현행 유지
심야 (밤 10시 ~ 다음날 오전 4시)
기존 할증 없음 → 현행 20%
2월부터 시행 예정
2. 서울 지하철, 버스 요금 인상
성인요금 기준
지하철 카드 : 1250원 → 1550원, 현금 1350원 → 1650원
버스 카드 : 1200원 → 1500원, 현금 : 1300원 → 1600원
마을버스 카드 : 900원 → 1200원, 현금 : 1000원 → 1300원
4월 말부터 서울시 한정으로 시행 예정
3. 외식 물가 인상
서브웨이 샌드위치 평균 9.1% 인상
(15㎝ 샌드위치 기준 583원 인상)
롯데리아 일부 제품 평균 5.1% 인상
(불고기 버거 단품 4500원 → 4800원)
파리바게트 2.2%, 제주삼다수 9.8%, 아이스크림, 캔음료, 수입맥주, 베이커리, 시리얼, 과자류도 10% 내외 물가인상
4. 공과금 인상
◇ 도시가스(1분기 동결)
4월~6월 추가인상 예정 (10%정도 예상)
최근 3개월 36.2% 폭등된 바 있음
◇ 전기세
2022년 대비 13.1원 (25.4%) 인상
전령양요금 kwh당 11.4원 상승 / 기후환경요금 kwh당 1.7원 상승
◇ 수도세
2023년 ~ 2026년 단계적 상향 예정 8.91% 정도 예상
5. 보험료 인상
◇ 건강보험료
- 직장가입자 6.99% → 7.09%
- 지역가입자 205.3원 → 208.4원 (부과점수 당)
◇ 국민연금
9% → 15%로 인상 논의 중
(상반기 중으로 발표 예정)
'국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도소득세 공제 범위_1세대 1주택, 일시적 1세대 2주택 (0) | 2023.02.05 |
---|---|
양도소득세란 무엇인가? (0) | 2023.02.05 |
강원도 영월군에서 제공하는 셋째 출산 지원금, 출산 장려금 (0) | 2023.02.03 |
연예인 기부금의 진실_기부금 절세 효과와 공제 비율 (0) | 2023.02.02 |
부모급여 지급 대상 및 신청 방법 (0) | 2023.01.30 |